“화성갯벌, 시민의 힘으로 람사르습지로!” 2025 세계 철새의 날 기념행사 성료… ‘1만 명 시민 서명운동’ 본격 출범

  • 등록 2025.10.20 21:30:00
크게보기

2025 세계 철새의 날 기념행사 성료… ‘1만 명 시민 서명운동’ 본격 출범
시민선언문 낭독과 함께 ‘1만 명 시민 서명운동’ 본격 출범

원스텝뉴스 이병희 기자 |

 

 

지난 10월 18일(토), 화성 매향리 갯벌 일대 매향리평화기념관에서 열린 ‘2025 세계 철새의 날 기념행사 및 화성갯벌 람사르습지 등재 시민선포식’이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화성환경운동연합 주관으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약 100명의 시민이 참여했다. 이번 행사는 매년 5월과 10월에 열리는 ‘세계 철새의 날’을 기념하고, 화성갯벌의 독보적인 생태적 가치를 시민과 공유하며 람사르습지 등재를 위한 결의를 다지기 위해 마련되었다.

 

 

■ “화성갯벌을 지키는 일은 지구의 생명을 지키는 일”... 시민선언문 낭독

 

행사의 절정은 ‘화성갯벌 람사르습지 등재 시민선언문’ 낭독이었다. 화성환경운동연합과 시민들은 선언문을 통해 “화성갯벌은 철새들이 쉬어가는 집이자, 바다와 사람이 함께 숨 쉬는 생명의 터전”임을 강조하며, “개발과 매립으로 사라지는 이 아름다운 화성갯벌을 국제적으로 보호받는 람사르습지로 지정하여 다음 세대에게 온전히 물려주고자 한다”고 천명했다.

 

이날 시민들은 선언 직후 ‘1만 명 시민 서명운동’의 공식 출범을 선포했다. 행사 현장에서는 많은 시민이 즉석에서 서명에 동참하며 람사르습지 등재에 대한 뜨거운 열의를 보였다. 이 서명운동은 연말까지 온·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진행될 예정이다.

 

 

■ 전문가 포럼, “화성갯벌, 람사르습지 등재 가치 충분”

 

오후에 진행된 전문가 습지 포럼에서는 화성갯벌의 생태적 가치와 보전 방향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이지윤 화성환경운동연합 운영위원은 10년간의 물새·저서생물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매향리 갯벌의 생태적 중요성을 설명했다.

 

이어 이정호 안양대학교 교수는 ‘흰이빨참갯지렁이’ 등 해양보호생물과 다양한 저서생물의 서식 실태를 발표했다.

 

마지막으로 서정화 하남시환경교육센터장은 멸종위기종인 알락꼬리마도요와 저어새 등 수천 마리 철새의 도래 현황을 소개하며 “화성갯벌은 람사르습지로 등재될 만큼 가치가 높다”고 역설했다.

 

 

■ 갯벌 탐방, 체험 부스 등 시민 참여 이어져

 

주말을 맞아 가족 단위로 행사장을 찾은 시민들은 철새 스탬프 찍기, 저어새 가면 만들기, 저서생물 관찰, 갯벌 퀴즈 등 다채로운 체험 부스를 즐겼다.

 

행사의 마지막 순서인 갯벌습지 탐방(탐조)에서는 매향리와 화성호 일대의 철새를 직접 관찰하며 강연과 체험으로 배운 갯벌의 소중함을 현장에서 확인했다.

 

행사에 참여한 한 시민은 “아이들과 함께 갯벌의 의미를 새길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며 “서명운동에도 꼭 참여해 화성갯벌을 지키는 데 힘을 보태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

 

행사를 주관한 화성환경운동연합 최오진 상임대표는 “매향리 갯벌은 수많은 철새의 쉼터이자 지역 생태의 중심이지만, 개발 압력으로부터 여전히 위협받고 있다”며, “시민의 힘으로 람사르습지 등재를 반드시 추진해 화성갯벌을 세계가 주목하는 생명의 터전으로 만들어가겠다”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붙임 1] 행사 개요

행사명 2025 세계 철새의 날 기념행사 및 화성갯벌 람사르습지 등재 시민선포식
일시 2025년 10월 18일(토) 10:00~14:00
장소 화성 매향리 갯벌 일대 (매향리평화기념관)
주관 화성환경운동연합
주요 • 환경 영화 상영, 개회식 및 시민선포식
프로그램 • 전문가 습지 포럼
  • 시민 체험부스 (철새·저어새·저서생물·갯벌 퀴즈)
  • 갯벌습지 탐방 및 철새 탐조

 

 

이병희 기자 etetc1234567@naver.com
Copyright @원스텝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인테넷 신문! 종합일간지,핫이슈,스포츠,지역뉴스,뉴미디어 시대를 선도하고 다양하고 많은정보를 다루는 온라인 신문 , 동영상 기사 콘텐츠를 신속하게 정확한정보를 독자에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