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스텝뉴스 이병희 기자 |
광명시(시장 박승원)가 전 시민에게 10만 원씩 지급한 민생안정지원금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효과를 거둔 것으로 입증됐다.
시는 1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민생안정지원금 효과분석 결과’를 주제로 정책브리핑을 열고, 민생안정지원금의 경제·사회적 성과를 발표했다.
홍명희 경제문화국장은 “민생안정지원금은 시민의 일상 회복과 지역경제의 체질 개선을 이끈 광명형 민생정책의 대표”라며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제 회복과 지역상권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시민의 일상에 숨통을 틔운 ‘10만 원의 힘’
광명시는 경기 침체로 어려운 민생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지난 1월 23일부터 3월 31일까지 전 시민에게 1인당 10만 원의 민생안정지원금을 광명사랑화폐로 지급했다.
최종적으로 시민의 93.4%가 신청해 총 260억 원이 지급됐으며, 사용 기한인 4월 30일까지 지급액의 98.9%인 257억 원이 지역 내 소비로 이어졌다.
시는 시의회와의 신속한 협력으로 절차를 단축했으며, 오프라인 접수창구를 병행 운영해 정보 접근이 어려운 시민도 소외되지 않도록 지원했다.
골목상권 회복 이끈 ‘소비 순환’의 중심축, 광명사랑화폐
민생안정지원금은 지역화폐인 ‘광명사랑화폐’로 지급되어 지역 내 소비 순환 구조를 만들어냈다.
지난 6월 설문조사 결과, 시민의 64.6%가 지원금 지급 이후 광명사랑화폐 사용이 늘었다고 응답했다. 시민의 85%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고 답했으며, 소상공인의 81.6%도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이중차분(DID) 분석에 따르면, 지원금 지급 시기 식품·외식 업종의 일평균 거래 건수는 직전 분기 대비 3만 3천 건 증가했고, 일매출은 2억 3천만 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차분(DID) 분석: 정책 시행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고, 지원을 받지 않은 집단과의 차이를 함께 분석해 정책의 실제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방식.시는 이러한 소비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인센티브율 상향, 캐시백 사업 등을 추진했다. 그 결과 2019년 78억 원 수준이던 광명사랑화폐 발행액은 올해 10월 2,457억 원으로 6년 만에 31.5배 성장하며 지역경제 회복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았다.
257억 원이 2,044억 원으로… ‘광명형 민생정책’의 증명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사회계정행렬(SAM) 모형* 분석 결과, 257억 원의 지원금은 총 2,044억 원의 경제효과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계정행렬(SAM) 모형: 산업 간 거래와 소득 흐름을 행렬 형태로 분석해 소비 지출이 다른 산업과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 효과를 측정하는 모형.
경기도 내에서 694억 원의 경제효과(생산유발 573억, 가계소득 105.5억 등)가 발생했으며, 경기도 외 지역에도 1,350억 원의 경제효과가 파급됐다.
이와 함께 총 501명(도소매업 212명, 음식·숙박업 185명 등)의 취업유발 효과가 발생해, 민생안정지원금이 가계소득 증가, 세수 확충, 고용 창출로 이어졌음이 증명됐다.
시민이 중심이 되는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구축
광명시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최근 행정안전부 ‘지역사랑상품권 운영 우수 지방정부’에 선정돼 확보한 국비를 활용해 연중 10% 이상의 인센티브를 유지할 계획이다. 또한 약 8,200개의 가맹점을 더욱 확대하고, 2026년에는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지류형 지역화폐도 도입할 예정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의 미래는 시민이 중심이 되는 지속가능한 경제도시”라며 “시민과 소상공인이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민생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